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1)
AI 소식 [2025년 7월 10일] 1. 채널톡, 사내 업무용 AI ‘팀 알프’에 MCP 호스트 기능 추가📎 링크채널톡에서 출시했던 사내 업무 보조용 AI 팀 알프에서 MCP 호스트 기능을 추가함.외부 툴과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여 조직 내 AI 활용도 향상 가능.키워드: 채널톡, 팀알프, MCP, 업무자동화 2. 규제 산업, MCP 도입에 신중한 이유(MCP isn’t KYC-ready: Why regulated sectors are wary of open agent exchanges)📎 링크KYC(Know Your Customer)요건이 핵심임 금융·의료 등 규제 산업에서 MCP 도입이 어려움.고객 신원 인증, 감사, 의심 거래 탐지 등 법적 인프라 미비가 주된 원인.키워드: MCP, KYC, 규제산업 3. 오픈AI, AI 브라우저 ..
AI 소식 [2025년 7월 9일] 1. 중국에서 대형 언어 모델(LLM) 기반 AI의 기억 기능을 구조적으로 강화한 메모리 운영체제 MemOS 발표📎 링크LLM의 장기 기억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메모리 운영체제 'MEM OS 공개.개인화 서비스, AI 비서 등에 적용해 더 지속적인 사용자 대응 가능.키워드: MemOS, 장기기억, 개인화AI2. ClickUp, 통합 AI 플랫폼 'Brain Max' 출시📎 링크협업툴 Clickup에서 Gmail, Drive, SharePoint 등 업무 서비스와 여러 AI모델들을하나의 창에서 제공.검색, 요약, 생성 등 업무 흐름이 끊기지 않고 AI 활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키워드: ClickUp, Brain Max, 업무AI3. LangChain, 유니콘 기업 등극 눈앞📎 링크LangChain이 ..
AI 소식 [2025년 7월 8일] 1. 앤트로픽, '프런티어 AI'의 투명성 강조📎 링크앤트로픽에서 안정성과 책임 있는 개발 위해 ‘투명성 프레임워크’ 제안.AI가 빠르게 발전하는 만큼 위험 완화와 감시 가능성 확보를 위한 체계 필요성 강조.키워드: Anthropic, 투명성, Frontier AI2. "프롬프트 대신 컨텍스트 엔지니어링"📎 링크컨텍스트 설계가 미세조정의 대안으로 부상.입력 맥락을 정교하게 조작하여 LLM 성능을 극대화함. 프롬프트 엔지니어링보다 고차원적 접근.키워드: 컨텍스트 엔지니어링, 미세조정, LLM3. 왓챠, 콘텐츠 속 음악 자동 인식 AI 도입📎 링크콘텐츠 감상 중 삽입곡 정보 자동 제공 기능 출시.유저의 콘텐츠 감상 몰입도 향상 및 음악 소비로 경험 확장.키워드: 왓챠, 음악 인식, 콘텐츠 AI4. Cu..
AI 소식 [2025년 7월 7일] 1. ChatGPT에서 가장 많이 질문한 주제: ‘주식 > 금융 > 스포츠’📎 링크2025년 1~5월, ChatGPT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주제는 '주식', 그 뒤를 '금융', '스포츠'가 이음AI를 일상적 투자 판단이나 금융 정보 탐색에 본격 활용 중임을 시사 2. AI 캐릭터 챗봇 ‘베이비챗’, 투자 없이도 월 10억 MRR 달성📎 링크유저 중심 전략, 대화 데이터 기반 피드백 루프6개월 만에 월 매출 10억 원 달성… 고객 피드백 수렴 전략이 주효 3. Meta, 챗봇이 먼저 메시지 보내는 기능 테스트 중📎 기사 링크💬 사용자가 만든 챗봇이 먼저 메시지, 관심 유도📌 Messenger·WhatsApp·Instagram에서 챗봇이 먼저 대화 시작… 플랫폼 내 사용자 체류시간 확대 전략으로 주..
🧠 기획자가 보는 OpenWebUI – LLM 오픈소스 도입 전 체크포인트 회사에서 LLM 관련 프로젝트의 진행을 맡았습니다.2023년 겨울 이후, 회사 제품팀은 LLM와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이어오며 저희 제품에 적용 가능한 AI 기능을 탐색해 왔습니다. 일반적인 챗봇 형태는 아니었지만, Open AI의 API를 활용한 보조 기능을 제품에 녹여내어 2024년 처음으로 AI 기능을 선보였습니다. 베타 딱지를 달고 출시한 기능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고객분들이 호기심을 가지고 사용하였고 많은 피드백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2025년, 본격적으로 LLM을 제품에 적용하는 정식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사용자에게 익숙한 인터페이스 모델은 역시 챗봇이었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프론트엔드와 백엔드에서 준비해야 할 것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이미 공개..